다양한 형태의 심리 상담을 종결하는 과정

Category: life, 2022-09-19

다양한 형태의 종결하는 과정

서방 바람직한 종결은 면담 목표에 도달했다고 판단한 나중 상담자와 내담자가 합의하여 종결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결은 앞에서 살펴본 상담의 초창기 과정과 중간과정을 거쳐 상담의 목표에 도달해서 상담을 마무리하는 것이지만, 정녕히 종결은 첫 회기 이후 언제라도 맞이할 성명 있다. 좁은 의미의 조기종결은 첫 회기 이후 내담자가 일방적으로 치료로부터 철수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넓은 의미의 조기종결은 상담자에 의해서도 나타날 운명 있다. 실상 상황에선 판정 시기가 어느 수준기 정해진 여태 진행되는 상담도 있다. 즉, 기관의 방침이나 여건, 혹은 내담자의 사정이나 요구에 의해 최대의 회기 수가 정해진 상태에서 상담을 진행하게 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대학상담센터에서는 가능한 한량 학기를 터전 기간으로 정해서 상담을 진행하고, 많은 공공기관에서도 단기간의 상담을 권장한다. 특별한 사례의 경우에는 회기 연장이 가능한 여지를 두는 곳도 있으나 더욱더 많은 소속원 내지 순서를 기다리는 한결 많은 내담자에게 기회가 돌아가도록 배려하기 위해 장근 회기를 제한하여 초기개입만 하는 것으로 방침을 정하고 심층적인 심리상담 또 치료가 필요한 심리상담센터 경우에는 외부기관으로 연계하거나 본인 내절로 기회를 확장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대학에서 한 학기 동안이라고 하면 16주 이내의 상담이 가능하고, 시고로 이치 상담자는 정해진 회기에 맞춰 상담을 진행하고 정해진 시기에 종결을 준비한다. 여기서는 미리감치 어떠한 형태의 종결이 존재하는지, 또한 통로 형태의 종결과 관련해서 상담자가 고려할 사항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외부요인에 의한 종결

면회 출발 전에는 예상치 못한 외부요인에 의해 면회 관계를 끝맺어야 하는 종결이 있을 생목숨 있다. 예를 들어, 상단 관계가 끝나기 전 내담자나 상담자가 먼 곳으로 이사를 가거나 이직을 하는 경우가 이에 속한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도움이 되는 대미 과정이 무엇인지 심사숙고해야 한다. 내담자의 사정으로 상담을 종결해야 하는 경우라도, 상담과정이 말뜻 있게 진행되는 중이었고 내담자가 상담자에게 크게 의존해 있었거나 애착을 느꼈던 사정 적지 않은 상실감을 경험하게 된다. 그러한 점에서 상담자의 이직이나 이사 등 상담자의 사정에 의해 종결해야 하는 경우, 이에 덧붙여 사정상 그러한 사실을 기이 내담자에게 귀띔조차 다리 않은 상황에서 돌연히 종결을 통보하는 것은 내담자에게 커다란 상실감이나 배신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상담자는 가능한 이직을 준비하는 과정에서부터 이적 도약 다중 내담자와의 이별에 대해 세심한 배려를 해야 하고, 당장 근무 군중 기관과 조율하여 일찍부터 새로운 내담자를 받지 않는다든가, 현재의 사례들을 마지막 직장으로 옮겨 가는 등의 조치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의물론 이러한 조치는 내담자의 동의가 있어야 하고, 실책 기관의 방침이나 여건과도 맞아야 가능하다. 이러한 조치가 어려운 경우, 상담자는 내담자와 짧은 시간이라도 지금까지의 상담과정과 홍점지익 상황, 앞으로의 과제를 살펴보고, 다른 상담자와의 계열 가능성에 대해 논의해야 하며, 내담자가 현재 심정을 유족히 표현할 길운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즉, 내담자가 느낄 복수 있는 충격을 최대한 완화할 생목숨 있는 조치가 무엇인지 배려해야 한다.

상담자에 의해 촉발된 조기종결

상담자의 기술이나 객관 부족, 개인적 문제에서 기인하는 종결이 있을 명맥 있다. 시고로 문제가 발생하지 않기 위해서 상담자는 탄탄한 수련과정을 밟아 상담자로서의 역량을 갖춘 상태에서 현장에 나가 부적절한 종결의 주체가 되지 않도록 예방에 힘써야 할 것이다. 내지 상담과정 도중 내담자와의 관계에서 역전이를 극복하지 못하거나 면담 진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이를 극복하기 힘든 상황에서도 종결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즉 호소 상담자는 자신의 문제가 무엇인지 자각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기회를 적극적으로 찾아 나서야 한다. 이러한 상담자의 문제를 발견하고 이강 개선해 나가는 과정을 검토할 길운 있는 일사인 슈퍼비전 기회를 갖고, 필요하다면 자기 분석을 받아서 상담에 지속적으로 장애가 될 길운 있는 개인문제를 해결하도록 권한다. 이외에도 상담자는 내담자의 문제가 자신의 전문성을 넘어선다는 판단하에 적절한 상담자와 연결하면서 관계를 종결할 목숨 있다. 자신의 전문성에 대한 검토와 의뢰는 가능한 면회 초기에 판단하여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판단에 자신이 없을 때는 자신을 밤낮 파악하고 있는 슈퍼바이저와 상의한다.

‘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